Изменения

Перейти к навигации Перейти к поиску
-(으)ㄴ/는 걸 보니(까) «судя по»
다 (простой стиль) + 길래 (причина)
the speaker is indicating that it was something that he or she heard from someone else that was the cause or reason for the action stated in the following clauseТо, что говорящий слышал от кого-то (1-я часть), стало причиной, основанием для действия во 2-й части.
같은 반 친구가 한국어 공부가어렵'''다길래''' 요즘 도와주고 있어요.
=== -(ㄴ/는)다더니 ===
An expression used to mention something the speaker knows from having heard it and connect this to the following content다 (простой стиль) + 더 (суффикс припоминания) + 니(까) причина, информация Выражения для упоминания того, что говорящий услышал в 1-й части, и связи этого со 2-й частью.
지수가 예쁘다더니 정말 영화배우처럼 예쁘네요.
나: 올해 수박 생산량이 많이 줄어서 그렇대요.
An expression used to quote and confirm a well-known maxim, etcВыражение для цитирования и подтверждения хорошо известного изречения.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도 곱다더니 그 말이 맞는 것 같아요.
Правду говорят "Только если исходящие слова будут ласковыми, то и приходящие будут милыми."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없다더니 부모에게는 모든 자식이 다 똑같네요.
 
고슴도치도 제 자식은 예쁘다더니 영수도 자기 아들이 제일 예쁘다더라고요.
=== -(ㄴ/는)다니까 ===
Неформальная, разговорная речь, к слушателю статусом нижепонижающаяся интонация. Говорящий подчеркивает (informal addressee-lowering) A sentence-final ending used when the speaker emphasizes his/her remark while reconfirming what was said earlierзамечание, подтверждая ранее сказанное.
아, 글쎄. 이번엔 틀림없다니까. Да, в этот раз это точно.
꼭 공부 못하는 애들이 저렇다니까.Так будет со всеми, кто плохо учится
괜찮아. 안 데려다 줘도 괜찮다니까. Все в порядке. Да, не надо меня брать с собой.
엄마는 아직도 여고 시절 친구들과의 일이 눈에 선하다니까.
그래도 착한 사람들이 성공하는 걸 보면 옛말이 하나도 틀리지 않다니까.
-(ㄴ/는)다(косвенная речь) + 더라 (слышал)
Формальная речь, говорящий . Говорящий передает ранее услышанное слушателю статусом нижевыше.
요즘 한국 영화가 꽤 볼만하다더라.
승규가 사는 집은 많이 춥다더라.
Дом, что покупает Сынгю, очень холодный.
옆집에서 키우던 강아지가 죽었다더라.
В дому по соседству умер щенок.
가: 민준이가 어제 교통사고를 당해서 병원에 입원했다더라.
Мин Джу попал в ДТП и госпитализирован.
나: 그래? 빨리 병문안을 가야겠다.
Вот как? Надо спешно навестить его.
 
=== -(ㄴ/는)다던데 ===
 
Упоминание ранее услышанного и относящегося к содержимому последующего разговора.
 
이 문제는 어렵다던데 우리 같이 풀어요. Это трудная проблема, решим её вместе.
주말에 날씨가 좋다던데 뭐하실 거예요? В выходные хорошая погода, что будете делать?
승규는 점심 약속 있다던데 누구를 만나는지 아세요?
가: 지수 딸이 정말 귀엽다던데 봤어요?
나: 저도 아직 못 봤어요. 돌잔치 때 가서 봐야겠어요.
 
Неформальная речь, к равному или ниже. Косвенно выражает, что хочет сказать говорящий путем того, что он слышал, в незавершенном предложении.
 
강원도는 많이 춥다던데. (Слышал, говорят) в Канвондо холодно.
밀가루 음식은 위에 안 좋다던데. Слышал, мучное плохо для желудка.
입사 시험에서는 외국어 실력이 중요하다던데. (Слышал, говорят) во вступительных экзаменах важны знания иностранного языка.
 
가: 민준이는 부장으로 승진했다던데. Мин Джуна повысили до главы отдела.
나: 지난달에 부장으로 승진했다던데 아주 좋아보였어요. В прошлом месяце повысили, очень доволен.
=== -(ㄴ/는)다던데 ===
=== -(느/는)다니 ===
(informal addressee-lowering) A sentence-final ending used to ask again or admire an unexpected fact in surpriseНеформальная речь. Выражает переспрашивание или удивление неожиданным фактов.
아직 해도 안 졌는데 벌써 가다니?
그 여자가 거울을 본 채로 길에 걸어서 진짜 대단해.
Девушка все время смотрела в зеркало, пока переходила дорогу, невероятно.
 
의자에 앉은 채로 잠이 들었다가 아침에 깨니 목이 많이 아팠다.
Заснул, сидя на стуле, проснувшись утром, испытывал сильную боль болела.
 
동생은 반쯤 선 채 자전거를 타다가 사고가 나 크게 다치고 말았다.
나는 전날 입었던 옷을 그대로 입은 채 학교에 갔다.
가: 주머니에 돈을 넣어 둔 채로 빨래를 하시면 어떡해요!
나: 네가 미리 꺼냈어야지.
=== -(으)ㄴ 척하다 «притворившись» ===
그가 갑자기 빨리 뛰'''는 걸 보니''' 학교에 늦었나 보다.
He seems to be late for he run so fast suddenlyСюдя по тому, что он внезапно понёсся, он опаздывал в школу.
이렇게 늦'''는 걸 보니''', 차가 막혔나 보다.
Because he is so lateТак он опоздал, It seems that there was a traffic jamна дороге пробка.
저 사람의 코가 빨간 걸 보니 술을 꽤 좋아하는 것 같아요.
=== -(으)ㄴ/는 데다(가) «в добавок к» ===
 
certain act or state has been added to its preceding act or state, making it worse or better.
 
승규는 잘생긴 데다가 성격도 좋아서 인기가 많다. Сынгю красивый, характер хороший, поэтому он популярен.
김치는 매운 데다가 마늘 냄새가 강해서 외국인이 싫어할 수도 있다.
이번 주 월요일은 공휴일인 데다가 숙제도 없어서 지수는 마음 놓고 놀았다.
가: 요즘 어머니께서 기분이 안 좋으신 것 같아서 선물을 사려고 하는데 뭐가 좋을까?
나: 꽃을 드리는 게 어때? 꽃은 예쁜 데다가 향기가 좋아서 받은 사람의 기분을 좋게 해 주잖아.
 
another fact or situation exists in addition to the apparent ones.
 
나는 최근 운동을 시작한 데다가 식이 요법도 해서 건강이 좋아지고 있다.
민준이는 졸린 데다가 고속 도로가 너무 막혀서 휴게소에서 좀 쉬기로 했다.
어제는 비가 많이 온 데다가 바람도 불어서 외출을 하지 않았다.
영수는 감기에 걸린 데다가 열이 나서 병원에 다녀왔다.
가: 항상 일찍 오시더니 오늘은 무슨 일로 지각을 하셨어요?
나: 늦잠을 잔 데다가 눈 때문에 길이 미끄러워서 늦었어요.
 
=== -(으)ㄴ/는 만큼 ===
요즘 수입은 증가하는 데 반해 수출은 감소하고 있습니다.
В наши дни в противоположность увеличению импорта экспорт уменьшается.
 
승규는 수학을 잘하는 반면에 외국어는 못하는 편이다.
민준이네 회사는 월급을 많이 주는 반면에 업무량도 많다.
아이가 과자는 좋아하는 반면에 밥을 잘 먹지 않아 끼니 때마다 엄마가 밥을 먹이려고 애썼다.
기술의 발전으로 쌀의 생산량은 증가하는 반면에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어 문제이다.
자동차는 이동하기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유지비가 들고 사고의 위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가: 오늘이 지수 생일이었는데, 생일 파티를 한 식당 분위기가 별로였다고 해서 조금 다퉜어.
나: 남자들은 음식의 맛을 중요시하는 반면에 여자들은 분위기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기도 하지.
=== -(으)ㄴ/는 법이다 «неизбежно, нужно» ===
=== -고 보니(까) «попробовал, оказалось» ===
Говорящий сделал дей-е в 1-части и обнаружил/понялчто-то новое, что-то что ранее не ожидалось неожиданное во 2-йчасти.
듣고 보니까 기분 나쁘네요. After I heardУслышав это, (I found out) I feel terribleпочувствовал отвращение.
알고 보니까 정말 착한 사람이었어요. After I know himБлизко узнав его, (I found out) he is a nice personпонял его добродушность.
공부를 하고 보니까 어렵지 않았어요. Узучив, понял, что нетрудно.  극장에 도착하고 보니 벌써 공연이 시작된 후였다. После того как прибыл к театру, оказалось, представление уже началось. After I studied시험지를 제출하고 보면 항상 틀린 문제가 생각난다. Сдав экзаменационные листы, (I found out) it was not difficultвсегда вспоминаются неправильные ответы. 승규한테 마구 화를 내고 보니 미안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Сынгю необдуманно рассердился, пришло в голову попросить прощения.  가: 이 많은 일을 언제 다 해? 나: 일이 어떻게 되든 일단 먹고 보자.
=== -고 보면 ===
Аналогична -고 보니까
 
=== -다(가) 보니(까) ===
 
An auxiliary verb used when one realizes a fact anew in the following statement, or becomes a state in the following statement while doing an action in the preceding statement.
Выражение обнаружения нового факта или наступление нового состояния во 2-й части ''во время совершения'' действия (а не после как -고 보니(까)) в 1-й.
 
오래 살다 보니 별일을 다 겪는다. Долго прожив, проходишь через разные испытания.
친구와 앉아서 이야기를 하다 보면 스트레스가 풀린다.
무슨 일이든지 꾸준히 하다 보면 어느새 익숙해지는 법이다.
 
가: 나에게 이렇게 힘든 위기가 찾아올 거라고 생각도 못 했어.
나: 살아가다 보면 좋은 일도 나쁜 일도 생기게 되어 있어.
 
=== -다(가) 보면 ===
=== -고 나면 ===
=== -고 들다 ===
Твердое намерение(-려(고) 들다)
우리 남편은 건강에 좋다는 음식은 무조건 다 사려고 들어요.
무슨 일이든지 과정도 중요하니까 결과만으로 평가하려 들지 마세요.
No matter what it is, the process is also important, so don’t judge based solely on the end result.
 
남편은 자기 관심 밖의 것은 아예 하려고 들지를 않았다.
그는 나를 속이려고 들었지만 나는 이미 사실을 다 알고 있었다.
모든 것을 일시에 해결하려고 들면 오히려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가: 우리 집을 팔아서 차라리 은행에 돈을 맡겨놓을까요?
나: 정작 팔자고 들면 매번 아쉬워하면서 왜 자꾸 똑같은 이야기를 해.
 
doing the preceding action as if to rush someone into doing it.
 
나는 워낙 말주변이 없어서 아내에게 따지고 들어 봤자 싸움이 되질 않는다.
그는 직원이 무슨 일을 하려고 하면 사사건건 따지고 들면서 그대로 내버려 두질 않았다.
가: 지수야, 너 술 많이 마셨으니까 이제 그만 마셔.
나: 지수는 원래 누군가가 말리고 들면 더 마셔. 내버려 둬.
=== -고 말고(요) ===
=== -고(요) «и еще» ===
=== -곤 하다 ===
 
 
the same situation repeats. Сокращение от -고는 하다
 
예전에는 만화책도 곧잘 읽곤 했지만 요새는 잘 보지 않는다.
딸아이는 아빠가 집에 돌아올 때면 쏜살같이 달려가 아빠에게 덥석 안기곤 한다.
지수는 방학만 되면 서울에 있는 고모 댁에 놀러 가곤 했다.
가: 그렇게 커피를 너무 많이 마시는 건 건강에 좋지 않아.
나: 근데 일 년 정도 계속 마시곤 해서 버릇이 됐는지 자꾸 마시고 싶더라.
 
=== -기 쉽다 ===
1. * Легко делать …
남을 비판하기는 쉬운 일이다
Легко критиковать других.
2. * Вероятно, возможно.
그는 아마도 도서관에 있기가 쉬운데 그곳으로 찾아가 보시오
Такие происшествия весьма вероятны к возникновению.
3. * Подлежать, быть склонным, быть подверженым, предрасположенный к
깨지기 쉬운 자기
Такие люди предрасположены тому, чтобы впасть в суеверия.
=== * -기 십상이다 «в самый раз»
하이킹하기에 ∼인 날씨
대신 после сущ. вместо (взамен) кого-чего; за кого-что; от имени кого: 아버지~에 вместо отца
1. Контраст или отличие 1-й и 2-й частей (синонимична 한편)
값이 비싼 ∼ 품질이 좋다
The quality is good though it is expensive.
이 약은 입에 쓴 대신에 효과는 아주 좋다. 승규는 평일에 회사 일로 바쁜 대신에 주말에는 한가하다. 지수는 예쁜 대신에 성격이 까다로워서 친구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지는 않다. 가: 이번 여름에는 작년에 비해 비가 너무 많이 왔어요. 나: 네, 맞아요. 하지만 비가 많이 온 대신에 더위가 심하지는 않았던 것 같아요. 2. Вместо, заместо, зато
집에 가는 ~에 вместо того, чтобы идти домой
편의점은 이십사 시간 운영해서 편리한 대신에 값이 조금 비싼 편이다.
며칠 동안 청소를 못 한 대신에 이번 주말에는 대청소를 해야 한다.
먼저 온 사람들이 자리를 떠난 대신에 늦게 온 사람들이 빈자리를 채웠다.
가: 지수야, 너한테 소포가 왔어. 이것 좀 보렴.
나: 와, 아빠가 제 생일에 출장을 가신 대신에 선물을 보내셨어요!
=== -는 덕분에 ===
Только глаголы могут предшествовать ~는 바람에.
날쓰가 갑자기추운 바람에 감기에 걸렸어요. (×) 날씨가 갑자기 추워진 바람에 감기에 걸렸어요. (○) Из-за того, что похолодало, подхватил простуду. 
춥다 "холодное" - прилагательное и должно быть преобразовано в 추워지다 "похолодать".
2. * Описывается результат произошедшего события, поэтому 2-я часть должна быть в прошедшем времени: 비가 많이 오는 바람에 홍수가 날 것 같아요. (×) Пролилось много дождей, возможно наводнение. 비가 많이 오는 바람에 홍수가 났어요. (○) Пролилось много дождей, произошло наводнение. * Поскольку за ~는 바람에 следует прош. время, то пригласительная и повелительная формы не употребляются.
3. Поскольку за ~는 바람에 следует прош. время, то пригласительная и повелительная формы не употребляются. 신용카드를 잃어버리는 바람에 은행에 가십시오. / 갈까요? (×) Поскольку потерял кредитную карту, идите/идем в банк. 신용카드를 잃어버리는 바람에 은행에 갔습니다. (○) Поскольку потерял кредитную карту, пошёл в банк.
4. Выражение используется в негативном оттенке и звучит неестественно с позитивным исходом.
남자 친구가 선물을 사 주는 바람에 기분이 좋아졌습니다, (×) 남자 친구가 선물을 사 주어서 기분이 좋아졌습니다. (○) Настроение улучшилось оттого, что друг подарил подарок.
Но может употребляться, если благоприятное событие произошло непреднамеренно или неожиданно.
  가: 윤주 씨, 기분이 좋아 보이네요. Юн Джу, смотрю, ты в хорошем настроении! 나: 언니가 갑자기 부산으로 이사를 가는 바람에 방을 혼자 쓰게 되었거든요. Старшая сестра внезапно переехал в Пусан, и комната стала полностью в моем распоряжении.
=== -는 사이에 «во время» ===
Определенное короткое время в течение действия или ситуации. 쉴 ∼도 없다Нет даже времени на отдых. I have no time to rest집을 비운 ∼에 В отсутствие дома.
집을 비운 ∼에잠깐 방심하는 사이에 사고가 생길 수 있다. Во короткое время невнимания может произойти происшествие. when[while] one is out / in one's absence기회는 눈 깜짝하는 사이에 지나간다. Возможность в мгновение ока испарилась. 갈팡지팡하는 사이에 많은 시간이 흘러갔다. 사람들이 우왕좌왕하는 사이에 불은 커져 갔다. 가: 쟤는 언제 온 거야? 나: 네가 잠깐 조는 사이에 왔어.
=== -는 셈치다 ===
 
A bound noun indicating judgment by guessing.
 
먹은 셈 치다.
받은 셈 치다.
속은 셈 치다.
없는 셈 치다.
죽은 셈 치다.
승규는 지수와 유민이에게 자신은 없는 셈 치고 편히 말하라고 했다.
민준이는 친구들이 몰래 파티 준비를 하는 걸 알았지만 속은 셈 쳤다.
가: 미안해요. 선물을 준비했는데 실수로 깨트렸어요.
나: 괜찮아요. 받은 셈 칠게요.
 
=== -는 수(가) 있다 «возможно» ===
=== -는 수밖에 (없다) «остается только» ===
В процессе выполнения действия. Не употребляется с природными явлениями.
사장님은 회의하는 중입니다. Директор на совещании. 요즘 운전을 배우는 중이에요. Сейчас учусь водить машину.  그는 대학 진학을 위해 적성에 맞는 전공을 생각하는 중이다. Он сейчас раздумывает над подходящей специальностью, чтобы поступить в университет. 연말이라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기부금이나 물품을 모으는 중입니다. 지수는 학교 앞에서 유민이를 만나기로 해서 기다리는 중이다. 우리 학교는 오래전에 지어진 낡은 건물을 방학을 이용해서 보수하는 중이다.
요즘 운전을 배우는 중이에요.가: 승규 씨, 하던 일은 다 됐어요? Сейчас учусь водить машину나: 네, 잠깐만요. 지금 마무리하는 중이에요.
Сущ-е 중:
делать вид; притворяться
 
승규는 집이 조금 부자라고 심하게 잘난 척했다.
천적을 만나면 죽은 척해서 위기를 모면하는 곤충들이 있다.
지수는 잘 알지도 못하면서 함부로 아는 척했다가 망신을 당했다.
가: 유민이가 승규를 짝사랑하고 있대.
나: 어머, 정말? 승규한테 관심 없는 척하더니 순 거짓말이었네.
=== -는 통에 ===
 
1-я часть - ситуация или причина плохого исхода во 2-й.
 
시험지를 빨리 내라고 재촉하는 통에 이름 쓰는 걸 잊고 말았다.
Требовали быстро сдать экзаменационные листы, так что забыл написать имя.
남편은 항상 밤 늦게나 집에 오는 통에 아이들 자는 얼굴만 보기 일쑤이다.
아이들이 시끄럽게 떠드는 통에 집중이 안 된다.
영화가 영 재미없는 통에 지루해서 하품이 다 나왔다.
가: 지수 씨, 오늘 피곤해 보이네요.
나: 네. 아이가 밤새 우는 통에 전혀 못 잤어요.
 
=== -는 편이다 ===
 
Некто, нечто принадлежит какой-то группе. "В целом, в общем, как правило"
 
괜찮은 편이다. Нормальный.
맛있는 편이다. Вкусный.
비싼 편이다. Дорогой.
예쁜 편이다. Милый.
잘하는 편이다.
승규는 운동은 못해도 공부는 잘하는 편이다.
지수는 그 정도면 키가 큰 편이다.
 
가: 이 식당 어때?
나: 음식은 맛있는데 가격이 좀 비싼 편이야.
 
=== -는 한 ===
 
предел; граница; пока; поскольку
 
to indicate a situation in which one is expected to sacrifice oneself for a certain task or endure a difficult and painful circumstance. Ситуация жертвования собой для задачи или выдержать трудную, болезненную ситуацию.
Даже если ..., все равно
 
나는 굶어 죽는 한이 있어도 구걸을 하고 싶지는 않았다. Даже если буду на грани голодной смерти, не желаю попрошайничать
나는 무대에서 쓰러지는 한이 있더라도 최선을 다해야겠다고 다짐했다. Клянусь, даже грани падения со сцены, выдам лучшее.
나는 민준이에게 맞아 죽는 한이 있어도 지수에게 용서를 빌라고 충고했다.
가: 내가 죽는 한이 있더라도 그 여자는 안 돼!
나: 저 그 여자 진심으로 사랑해요. 결혼 허락해 주세요.
 
Условие (пока; до тех пор, насколько ...)
 
가능한 ~ по мере возможности; насколько возможно
내가 아는 ~ 너는 통과증이 필요없다 Насколько мне известно, вам пропуск не нужен.
성실하게 일하지 않는 ~ 너는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 Ты не будешь иметь успеха, пока не начнёшь серьёзно работать.
 
나는 내 능력이 닿는 한 최선을 다해 친구를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변이 없는 한 김 후보가 당선될 것이라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었다.
나는 꿈과 목표가 있는 한 절대 포기하지 않고 꿈을 이룰 것이라고 다짐했다.
 
가: 내가 아는 한 걔는 그럴 애가 아니야.
나: 근데 걔가 도둑이 아니면 누가 그런 짓을 했겠어?
 
=== -는 한편 «в добавок; но в то же время» ===
Он занимается торговлей, и побочным занятием пишет картины.
=== -다(가) 보니(까) ====== -다(가) 보면 ===
=== -다고 치다 ===
=== ~만 하다/못하다 «величиной с» ===
The room is as big as an athletic field.
=== -아/어 가다 ===
=== -아/어 오다 ===
 
=== -아/어 가지고 ===
=== -아/어 나가다 ===
=== -아/어 내다 ===
=== -아/어 놓다/두다 ===
=== -아/어 달라다 ===
 
В косвенной речи замена 주다, если действие осуществляется для говорящего (а не для кого-то другого).
 
책을 빌려 ∼
Просить одолжить книгу
 
밥(을) 달라고 했어요.
Я сказал подай мне рис.
 
=== -아/어 대다 ===
=== -아/어 먹다 ===
=== -아/어 버리다 ===
=== -아/어 있다 ===
=== -아/어 죽다 ===
=== -아/어/여서 그런지 ===
=== -아/어여 보이다 "кажется, видимо, ..." ===
=== -자고 하다 ===
 
 
== Вспомогательные глаголы (보조 동사) ==
=== -아/어 가다 ===
 
the continuation or progress of a motion, state, or change of state in the preceding statement.
 
고기가 다 익어 가니까 불을 줄입시다.
날이 점점 어두워 가서 우리는 발걸음을 재촉했다.
가을 밤이 깊어 가고 있다.
어린이들은 미래에 대한 꿈을 키워 가고 있다.
화단에 물을 주지 않아 꽃이 시들어 간다.
내가 대답이 없자 나를 부르는 친구의 목소리는 점점 커져 갔다.
가: 신혼이신데 집안일은 어렵지 않나요?
나: 네, 좀 어렵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생활해 가면서 늘겠죠.
 
do something while doing something
An auxiliary verb used to indicate the occasional repetition of an action to the preceding statement.
 
좀 쉬어 가면서 일을 하여라.
우리는 놀아 가며 공부를 했다.
나는 친구에게 농담을 섞어 가며 이야기를 나눴다.
 
=== -아/어 오다 ===
 
the act or state mentioned in the preceding statement is continued.
 
어머니는 항상 우리를 위해 살아 오셨다.
지수와 승규는 어린 시절부터 사귀어 오던 친구 사이이다.
그들은 그때까지만 해도 그들에게 닥쳐 올 미래를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가: 유민아, 더 자도 되는데 왜 벌써 일어났니?
나: 날이 밝아 와서 자연스럽게 눈이 떠졌어요.
 
=== -아/어 가지고 ===
=== -아/어 나가다 ===
=== -아/어 내다 ===
 
having independently completed the action of the preceding statement.
 
우리 회사는 신제품을 개발해 내어 큰 수익을 얻었다.
수비수가 상대 팀 공격수의 공격을 완전히 막아 내었다.
우리 학교는 우수한 기술 전문가들을 길러 내는 곳이다.
아이는 어려운 책을 읽어 내기가 힘이 들어 계속 딴청을 피웠다.
아저씨는 아이가 물에 빠뜨린 장난감을 그물망으로 건져 내셨다.
가: 수술이 많이 힘드셨을 텐데 잘 참아 내셨어요.
나: 병을 고치는 과정이니 좀 아파도 참아야지요.
 
=== -아/어 놓다/두다 ===
 
doing an action in the preceding statement and continuously maintaining its result.
 
그는 문을 활짝 열어 두고 방 안에 있는 공기를 환기했다.
내가 알아서 처리할 테니 그 일은 걱정하지 말고 나한테 맡겨 둬.
지수는 내일은 시간이 없을 것 같아 오늘 미리 숙제를 해 두었다.
내일 힘든 일을 하려면 지금 많이 먹어 두어야 한다고 그는 내게 당부하였다.
돈이나 보석은 튼튼한 금고에 보관해 두었으니 도둑이 들어도 걱정이 없었다.
가: 하라는 공부는 안 하고 뭐 하니?
나: 그냥 좀 절 내버려 둬요.
 
=== -아/어 달라다 ===
 
В косвенной речи замена 주다, если действие осуществляется для говорящего (а не для кого-то другого).
 
책을 빌려 ∼
Просить одолжить книгу
 
밥(을) 달라고 했어요.
Я сказал подай мне рис.
 
=== -아/어 대다 ===
 
to indicate the repetition of an action in the preceding statement or that the level of the action is extreme.
 
그렇게 떠들어 대지 말고 수업에 집중해야지. Не надо так шуметь, сосредоточтесь на занятиях.
지수는 입만 열면 거짓말을 해 대니 믿을 수가 없다.
Джису только откроет рот, как спорет такую чушь, что невозможно поверить.
아내는 항상 아이들에게 깨끗이 씻으라고 잔소리를 해 댄다.
가: 유민이가 자꾸 밥은 안 먹고 햄버거를 사 달라고 졸라 대서 곤란해 죽겠어요.
나: 조르게 두지 말고 따끔하게 혼을 낼 필요가 있겠어.
 
=== -아/어 먹다 ===
 
imply that the current situation is not satisfactory by emphasizing an action in the preceding statement.
 
나는 바보같이 또 계정 비밀 번호를 잊어 먹었다.
우리 사장님은 돈은 조금 주면서 사람들을 부려 먹는다.
승규는 친구에게 들은 유머를 써 먹어 봤지만 반응은 좋지 않았다.
가: 정말 회사원도 해 먹기 어려워.
나: 원래 돈 벌기는 어려워. 다른 일은 하기 쉬운 줄 아니?
 
=== -아/어 버리다 ===
=== -아/어 있다 ===
=== -아/어 죽다 ===
 
Интенсивность состояние значительна. "До смерти хочется"
 
목말라 죽다. Умираю с голода.
미워 죽다. До смерти ненавистно.
심심해 죽다. Тоска смертная.
예뻐 죽다. Смертельно милая.
추워 죽다. Холод смертельный.
집에만 있으려니 답답해 죽을 것 같다.
얇게 입고 나왔더니 추워 죽겠어.
딸이 노래하는 모습을 보니 예뻐 죽겠다.
가: 엄마, 배고파 죽겠어요.
나: 조금만 기다리렴. 엄마가 금방 저녁 해 줄게.

Навигация